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돈 모으는 습관, 월 예산 짜기

by 노마드jm 2025. 5. 29.

매달 월급은 받는데 돈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모르겠다면, 예산부터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산을 짠다는 것은 단순히 지출을 줄이자는 의미가 아닙니다. 정해진 수입 안에서 우선순위를 정하고, 계획적으로 돈을 쓰기 위한 체계적인 습관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월 예산 짜는 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1. 월 수입부터 정확히 파악하기

예산의 출발점은 ‘얼마나 버는가’를 명확히 아는 것입니다. 고정급여뿐만 아니라 부수입(알바, 용돈, 프리랜서 수익 등)까지 포함해 실수령액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예: 고정급여 250만원 + 부수입 30만원 = 월 총수입 280만원


2. 지출 항목을 구분하고 분석하기

지출은 고정지출변동지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고정지출: 매달 반복되는 비용 (예: 월세, 통신비, 보험료, 교통비 등)
  • 변동지출: 달마다 달라지는 비용 (예: 식비, 외식, 쇼핑, 여행 등)

이 외에도 비정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예비비(비상금)**나 저축 및 투자 항목도 따로 고려해야 합니다.


3. 50-30-20 예산법 활용하기

초보자가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50-30-20 규칙입니다.

  • 50%: 필수 지출 (주거비, 식비, 교통비 등)
  • 30%: 자율 지출 (여가, 쇼핑, 구독 서비스 등)
  • 20%: 저축 및 투자 (비상금, 연금, 주식, 예적금 등)

이 규칙을 기준으로 자신의 소비 패턴을 조정하면,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균형 있는 예산 관리가 가능합니다.

예: 월 수입 280만원

  • 140만원 → 필수 지출
  • 84만원 → 자율 지출
  • 56만원 → 저축 및 투자

4. 실제 예산표 작성하기

예산표는 노트, 엑셀, 혹은 가계부 앱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항목별로 예산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산표 예시:

  • 월세: 50만원
  • 교통비: 10만원
  • 통신비: 6만원
  • 식비: 35만원
  • 외식: 10만원
  • 쇼핑: 10만원
  • 구독서비스: 2만원
  • 예적금: 30만원
  • 투자: 20만원
  • 비상금: 6만원

예산은 정답이 아니라 ‘가이드라인’이므로 실제 생활과 맞지 않는 항목은 유연하게 조정해가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지출 모니터링 및 피드백

예산을 세웠다면, 그 달의 지출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주 단위 혹은 10일 단위로 예산 대비 지출 현황을 체크하면서, 계획에서 벗어난 부분을 조정하세요.

예산과 실제 지출의 차이를 기록해두면, 다음 달 예산 설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6. 예산 관리에 도움이 되는 팁

  • 가계부 앱 활용: 토스, 자비스, 브로콜리 등에서 자동으로 수입과 지출을 분류해줍니다.
  • 불필요한 고정지출 점검: 사용하지 않는 구독 서비스, 중복 보험 등은 과감히 정리하세요.
  • 예비비 항목 설정: 예상치 못한 의료비, 선물, 수리비 등은 예비비로 미리 계획하세요.
  • 지출 알림 설정: 카드사 또는 금융 앱의 푸시 알림 기능을 켜두면 소비 습관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마무리하며

월 예산을 짜는 것은 절약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소비의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재무 원칙을 세우는 첫걸음입니다. 수입보다 지출이 앞서는 시대, 체계적인 예산 관리는 단단한 금융 습관을 만드는 기초입니다.

오늘부터 한 달 예산표를 만들어보세요. 돈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삶의 여유와 자신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산짜는법 #월예산관리 #개인재무관리 #소비관리 #생활속재테크 #경제기초 #가계부활용법 #초보자금융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