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경제를 공부하자- 날씨가 원자재 시장에 미치는 영향

by 노마드jm 2024. 6. 18.

 

우리가 매일 마시는 커피의 재료인 원두 가격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심한 경우 원두 작황이 좋지 않으므로 원두 가격이 상승하는 식으로,

여러 원자재도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날씨가 원자재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날씨는 원자재 시장에 다양한 방법으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영향은 농산물, 에너지, 금속 등 여러 원자재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납니다. 

농산물에 미치는 영향

*곡물의 수확량
날씨는 곡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가뭄, 폭우, 혹한 등 극단적인 날씨 조건은 곡물 수확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뭄은 옥수수, 밀, 대두 등의 작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풍작을 기대하던 농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World Population Review)​.

*곡물의 품질
비정상적인 기후 조건은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과도한 강우는 곰팡이 발생을 유발하고, 고온은 곡물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The Diplomat)​.

*과일과 채소의 성장 주기
적절한 온도와 강우는 과일과 채소의 성장 주기에 필수적입니다. 
극단적인 기온 변화는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습니다.

*과일과 채소의 수확 시기
기후 변화로 인한 수확 시기의 변동은 시장 공급 시기와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Carnegie Endowment)​.


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석유와 가스의 수요 변화
기온이 낮아지면 난방용 연료의 수요가 증가하고, 기온이 높아지면 냉방용 전력 수요가 증가하여 

천연가스와 원유의 수요가 늘어납니다.

*석유와 가스의 생산 차질
허리케인이나 태풍 같은 극단적인 날씨는 원유 시추 플랫폼과 정제소에 피해를 주어 생산에 차질을 빚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미국의 허리케인 시즌 동안에는 멕시코만의 원유 생산이 자주 중단됩니다​ 
(World Population Review)​.

*석탄의 운송 문제
폭우나 홍수는 석탄 운송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철도와 도로가 침수되면 석탄을 화력 발전소로 운송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석탄의 수요 변동
여름철 냉방 수요 증가나 겨울철 난방 수요 증가는 석탄 소비를 늘릴 수 있습니다​ 
(The Diplomat)​.


금속에 미치는 영향

*철광석과 철강
폭우는 광산 작업을 방해하고, 홍수는 광산으로 접근하는 도로와 철도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철광석 공급에 차질을 빚게 합니다.
철강 생산에는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날씨로 인한 에너지 수요 변동은 철강 생산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Carnegie Endowment)​.

*비철 금속(구리, 알루미늄 등)
기후 조건이 악화되면 광산 운영과 금속 운송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남미의 구리 광산은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생산 차질을 겪은 바 있습니다.

*알루미늄 생산에는 많은 전력이 필요하므로, 날씨로 인한 전력 수급 불안정은 알루미늄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The Diplomat)​.


기타 영향
날씨는 전체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해상 운송은 폭풍과 같은 악천후로 인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크게 미칩니다.
날씨로 인해 운송 비용이 증가하면 최종 제품의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Carnegie Endowment)​.

보험 및 금융
극단적인 날씨로 인한 재해가 빈번해지면 농업, 에너지, 광산업체의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날씨에 민감한 원자재에 투자하는 금융 상품은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World Population Review)​.




날씨는 여러 원자재 시장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가격 변동과 공급망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농산물, 에너지, 금속 등 모든 원자재는 날씨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원자재 시장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과제입니다. 

효과적인 기후 대응 전략과 재난 관리를 통해 이러한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The Economist: Big Mac Index
World Bank: Purchasing Power Parity
Investopedia: Big Mac Index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Demographics and the Future of South Korea
The Diplomat: South Korea’s Demographic Trends
World Population Review: South Korea Population 2024

 

 

 

*정보의 출처는 별도 표기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